본문 바로가기

윈도우 화면보호기 설정 방법

끄적 2022. 5. 18.

사용하지 않는데, 컴퓨터를 켜놓으면 전력이 낭비가 돼서 화면보호기를 설정해서 이용하고 있습니다. 화면보호기는 설정한 시간 동안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켜지게 됩니다. 다시 컴퓨터를 해야 될 땐 마우스나, 키보드를 누르면 다시 원래 화면으로 돌아옵니다.

 

윈도우 화면보호기 설정

윈도 7에서 화면보호기 설정했던 방법과 거의 동일해서, 금방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그럼 어떻게 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단축키인 윈도 로고 키 + i 또는 윈도 시작 버튼을 클릭해서, 설정을 열어줍니다. 그다음 개인 설정을 클릭합니다.

 

잠금화면 탭을 클릭하고, 스크롤을 내려서 "화면 보호기 설정"을 클릭합니다.

 

(없음)으로 된 부분을 클릭해서, 3차원 텍스트, 사진, 리본 등 화면 보호기로 사용할 항목을 선택합니다. 그다음 시간을 지정해야 되는데, 1분은 너무 짧으니 알맞은 시간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옆에 "다시 시작할 때 로그온 화면 표시"가 있는데, 체크하시면 화면 보호기가 켜진 상태에서 키보드, 마우스를 움직였을 때 바로 컴퓨터 화면이 뜨지 않고, 컴퓨터 로그인 화면이 뜨게 됩니다. 그래서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화면 보호기를 설정했는데, 절전 모드 설정했다면, 화면 보호기 상관없이 설정한 시간이 지나면 컴퓨터는 절전 모드가 됩니다. 그래서 작업하고 있는 서류가 삭제가 되거나, 설치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중단될 수 있으니, 절전 모드는 끄는 게 좋습니다.

 

절전 모드 끄는 방법은 설정 → 전원 및 절전으로 가서 전부 안 함으로 설정하면 됩니다. 그리고 화면 보호기 설정하고 바로 절전 모드 해제할 수 있는데, 개인 설정 → 잠금 화면 → 화면 시간제한 설정을 클릭하면 바로 전원 및 절전 설정으로 넘어갑니다. 그럼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